주요 연구 분야
- 안과학
- 세부전공분야: 외안부(각막, 결막 포함), 백내장, 굴절교정수술, 콘택트렌즈, 누기질환
연구 내용
안과학은 눈의 구조와 기능, 다양한 안질환의 진단 및 치료를 포함한 임상분야로, 본 연구실에서는 각막과 결막을 포함하는 외안부, 백내장, 굴절교정수술, 콘택트렌즈 등 안질환을 실험적 혹은 임상적으로 연구를 하고 있다.
관심있는 연구분야는 각막세포와 약물의 독성연구, 각막이식 및 인공각막 개발연구, 수정체세포의 변이와 인공수정체 개발연구, 콘택트렌즈 연구, 눈물관의 인공 누기개발연구, 익상편수술 및 안표면재건술 등 임상적 연구와 더불어 생체외 실험적 연구를 시행하고 있다. 현재 매년 다수의 논문을 국내외 전문학술지에 발표하고 있고, 안과학 교육에도 중점을 두어 국내에서는 최초로 영문판 안과검사학 교과서 <Primary Eye Examination>을 비롯하여 <눈검사/수술 바로알기> <최신 임상 콘택트렌즈> <백내장> <각막> 등 전문분야에 관한 책들을 집필/출간하고 있다.
주요 연구 업적
1. A 5-Year Review of Acanthamoeba Keratitis Related to Wearing Contact Lenses in Korea. Jo YJ, Jang SK, Lee J, Lee JS. Eye Contact Lens. 2020;46(4):223-227. doi: 10.1097/ICL.0000000000000669.
2. Effects of titanium dioxide nanoparticles on the inhibition of cellular activity in human Tenon's fibroblasts under UVA exposure.Lee SU, Lee JE, Kim SJ, Lee JS.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2018;256(10):1895-1903. doi: 10.1007/s00417-018-4091-9.
3. Comparison of 2 Different Methods of Transepithelial Corneal Collagen Cross-Linking: Analysis of Corneal Histology and Hysteresis. Park YM, Kim HY, Lee JS. Cornea. 2017;36(7):860-865. doi: 10.1097/ICO.0000000000001229.
4. Autologous advanced tenon grafting combined with conjunctival flap in scleromalacia after pterygium excision.
Lee JS, Shin MK, Park JH, Park YM, Song M. J Ophthalmol. 2015;2015:547276. doi: 10.1155/2015/547276. Epub 2015 Apr 23.
5. Evaluation of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identified in keratoconus.
Lee JE, Oum BS, Choi HY, Lee SU, Lee JS. Mol Vis. 2009 Nov 28;15:2480-7.
6. Clinical efficacy of the polyurethane stent without fluoroscopic guidance in the treatment of nasolacrimal duct obstruction. Lee JS, Jung G, Oum BS, Lee SH, Roh HJ. Ophthalmology. 2000;107:1666-70. doi: 10.1016/s0161-6420(00)0022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