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연구 분야
1. 기생충감염과 면역질환 발생과의 관계 연구
2. 기생충을 이용한 비만억제 연구
3. 가시아메바에 의한 알레르기 호흡기 질환 연구
연구 내용
- 최근 기생충감염이 급격히 감소함과 동시에 여러 가지 난치성 질환이 새로이 발생하거나 증가함 . 특히, 국내에서도 기생충 감염의 감소와 더불어 크롬병을 비롯한 염증성 장질환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음.
- 윤충성 기생충 감염의 특징은 IL-10과 TGF-β라는 regulatory cytokine 의 분비를 촉진하여 regulatory T (Treg) cell의 분화, 증식, 활성화를 통해 자신에 대한 면역세포의 공격을 억제하도록 유도함. 이렇게 활성화된 Treg 세포는 Th2 세포뿐만 아니라 Th1,Th17, 그리고 NKT 세포의 활성도 함께 억제하여 결과적으로 염증성 장질환의 핵심적인 면역세포들의 기능을 저하시키므로 염증을 완화시킴
2. 기생충을 이용한 비만억제 연구
- 현대사회에 증가하고 있는 비만의 원인은 서구화된 식생활, 운동부족, 장내 기생충감염의 감소 등 다양함
- 최근 들어 면역학의 발달로 인하여 비만이 Th1과 Th17 면역반응이 관여하는 만성염증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밝혀냈다. 이로 인하여 M1 대식세포의 활성이 되고 결과적으로 비만이 악화된다고 함.
- 기생충 감염은 그 자체로 숙주의 영양분을 탈취하여 체지방비율을 낮출 수 있지만 Th2 및 조절 T 세포의 활동으로 인하여 eosinophil 및 M2 대식세포를 활성화 시키고 이로 인해 M1 대식세포 관련 염증을 억제하고 비만을 개선할 수 있음. 하지만 기생충의 어떠한 대사체가 이러한 역할을 하는지는 아직 알려진 바가 없음
- 기생충 감염에 의하여 생기는 비만 억제 면역반응을 정밀하게 연구하고, 이러한 비만 개선에 관여하는 기생충의 분비배설항원을 포함한 다양한 대사체에서 그 인자를 발굴하고, 이를 재조합하여 비만 치료 소재를 발굴하고자 함.
3. 가시아메바에 의한 알레르기 질환 연구
- 천식의 경우, 2016년 세계보건기구의 보고에 의하면 전 세계적으로 3억 3,900만명 이상의 사람들이 앓고 있으며, 전 세계적 문제가 되고있는 미세먼지, 황사 등으로 인한 알레르기성 호흡기 질환의 유병율이 증가하고있으며, 앞으로 더 많은 증가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며 이런 알레르기성 호흡기 질환의 유병율이 증가함에 따라, 알레르기 질환으로 인한 개인적인 진료비 부담이 증가하는 문제가 야기됨.
- 가시아메바는 환경에서 쉽게 노출될 수 있으며, 반복적인 노출 동물모델에서 기도 내 다양한 Th2 관련 사이토카인의 발현과 염증성 세포들의 발현을 증가시킴. 이 때, 폐 상피세포의 여러 리셉터를 (PAR2, TLRs, 등) 경유하며, 또한 수지상세포 및 대식세포의 활성을 통해 일련의 반응을 유도함.
- 가시아메바가 분비하는 분비배설항원 중 profilin이라는 특정 항원을 선별하였으며, 현재 profilin에 의한 호흡기 질환의 발병 기전을 규명하고있으며, 추가적으로 profilin내 핵심 펩타이드를 발굴하여 진단용 항원 제작 가능여부를 확인하고있음.
주요 연구 업적
1. Phylogenetic positioning of a Strongyloides stercoralis isolate recovered from a Korean patient and comparison with other Asian isolates. Bae JH, Jeong MJ, Shin DH, Kim HW, Ahn SH, Choi JH, Yu HS. Korean J Parasitol. 2020;58(6):689-694.
2. Effects of lifelong spontaneous exercise on the M1/M2 macrophage polarization ratio and gene expression in adipose tissue of super-aged mice. Baek KW, Lee DI, Jeong MJ, Kang SA, Choe Y, Yoo JI, Yu HS, Kim JS. Exp Gerontol. 2020 Nov;141:111091
3. Trichinella spiralis infection ameliorated diet-induced obesity model in mice. Kang SA, Choi JH, Baek KW, Lee DI, Jeong MJ, Yu HS. Int J Parasitol. 2020 Sep 20:S0020-7519(20)30255-1.
4. Prevalence of scabi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in South Korea. Kim DH, Yun SY, Park YC, Kang SA, Yu HS. PLoS Negl Trop Dis. 2020 Aug 18;14(8):e0008554.
5. Identification of Free-Living Amoebas in Tap Water of Buildings with Storage Tanks in Korea. Lee DI, Park SH, Baek JH, Yoon JW, Jin SI, Han KE, Yu HS. Korean J Parasitol. 2020 Apr;58(2):191-194.
6. Phylogenetic Characteristics of Echinococcus granulosus Sensu Lato in Uzbekistan. Kim HJ, Yong TS, Shin MH, Lee KJ, Park GM, Suvonkulov U, Kovalenko D, Yu HS. Korean J Parasitol. 2020 Apr;58(2):205-210.
7. Differences in macrophage polarization in the adipose tissue of obese mice under various levels of exercise intensity. Baek KW, Lee DI, Kang SA, Yu HS. J Physiol Biochem. 2020 Feb;76(1):159-168.
8. Adoptive transfer of Trichinella spiralis-activated macrophages can ameliorate both Th1- and Th2-activated inflammation in murine models. Kang SA, Park MK, Park SK, Choi JH, Lee DI, Song SM, Yu HS. Sci Rep. 2019 Apr 25;9(1):6547.
9. Therapeutic effects of Echinococcus granulosus cystic fluid on allergic airway inflammation. Kim HJ, Kang SA, Yong TS, Shin MH, Lee KJ, Park GM, Suvonkulov U, Yu HS. Exp Parasitol. 2019 Mar;198:63-70.
10. An advanced protocol for the purification of whipworm eggs from feces for use as therapeutic agents. Choi JH, Park SK, Park MK, Kang SA, Lee D, Song SM, Kim HJ, Park SH, Kim EM, Yu HS. Parasitol Int. 2019 Jun;70:41-45.
11. Acanthamoeba profilin elicits allergic airway inflammation in mice. Song SM, Kang SA, Park HK, Kim DH, Park SY, Jang SB, Yu HS. PLoS Negl Trop Dis. 2018 Dec 17;12(12):e0006979.
12. Identification of a host collagen inducing factor from the excretory secretory proteins of Trichinella spiralis. Park MK, Kim HJ, Cho MK, Kang SA, Park SY, Jang SB, Yu HS. PLoS Negl Trop Dis. 2018 Nov 1;12(11):e0006516.
13. Practical Algorisms for PCR-RFLP-Based Genotyping of Echinococcus granulosus Sensu Lato. Kim HJ, Yong TS, Shin MH, Lee KJ, Park GM, Suvonkulov U, Kovalenko D, Yu HS. Korean J Parasitol. 2017 Dec;55(6):679-684.
14. Adhesion of Acanthamoeba on Cosmetic Contact Lenses. Lee SM, Lee JE, Lee DI, Yu HS. J Korean Med Sci. 2018 Jan 22;33(4):e26.
15. Culture supernatant of adipose stem cells can ameliorate allergic airway inflammation via recruitment of CD4+CD25+Foxp3 T cells. Yu HS, Park MK, Kang SA, Cho KS, Mun SJ, Roh HJ. Stem Cell Res Ther. 2017 Jan 23;8(1):8.
16. The induction of the collagen capsule synthesis by Trichinella spiralis is closely related to protease-activated receptor 2. Park MK, Cho MK, Kang SA, Kim BY, Yu HS. Vet Parasitol. 2016 Oct 30;230:56-61.
17. Preventive Intra Oral Treatment of Sea Cucumber Ameliorate OVA-Induced Allergic Airway Inflammation. Lee DI, Park MK, Kang SA, Choi JH, Kang SJ, Lee JY, Yu HS. Am J Chin Med. 2016;44(8):1663-1674